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발급 받는 방법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는 건강보험 가입자나 가입이력이 있었던 개인에 대해 건강보험 가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입니다.
다시말해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는 가입자의 건강보험이 언제 취득되고 언제 상실되었는지 이력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직장에 4대보험에 가입이 되는 경우 입사일을 기준으로 건강보험자격이 취득되고, 퇴사일을 기준으로 건강보험자격이 상실됩니다.
이러한 증명이 필요한 이유는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야하는 경우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어림잡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되기때문에 관련한 문서제출을 요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인터넷 발급 방법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도록 아래 5가지 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습니다. 각 단계별로 따라하셔서 집에서도 간편하게 발급받아보세요.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발급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24에서도 발급을 위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지만, 건강보험공단에서 발급받는 것이 더 편리하기 때문에 위 말씀드린 홈페이지로 접속하셔서 민원발급을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국민겅강보험공단

2. 민원신청 자격득실확인서

  •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 자격득실확인서

우측상단 가로줄 아이콘을 클릭하시게 되면 여러가지 메뉴가 보일텐데요, 가장 첫 번째보이는 민원여기요를 클릭하시게 되면 바로 오른쪽에 또 추가 메뉴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개인민원을 클릭하시면 또 아래로 여러가지 메뉴들이 나타나는데요. 저희는 자격득실확인서를 클릭해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 준비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국민겅강보험공단 민원신청


3. 로그인

로그인은 간편인증과 공동 및 금융인증서를 통해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먼저 간편인증의 경우에는 카카오톡, KB국민은행, 페이코, PASS, 삼성pass, 네이버, 신한은행, 토스 인증을 통해서 간편하게 인증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로 인증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전에 미리 발급받은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를 통해 본인임을 증명하고 로그인하여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을 받을 수 있게됩니다.


4. 조회조건 입력

조회조건은 실제로 여러분들이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받았을 때, 표시되는 정보들을 나열하기 위한 조건들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예를들어, 직장가입자 형태로 조회하고 싶은 경우에는 직장가입자를 선택하셔서 조회를 하실 수 있고, 주민등록번호를 모두 표시해서 조회하고 싶으신 경우 주민등록번호 표시하여 출력을 클릭하시면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포함되어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가 발급됩니다.


5. 발급완료

위 단계들에서 서류 발급을 위한 준비가 모두 끝났으니, 출력하여 발급을 완료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원본문서를 출력하여 전송해야하는 경우에는 출력을 하시기보다는 pdf로 인쇄하여 파일로 보관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df파일로 바로 보관하게 되는 경우에는 출력 후 스캔을 다시 해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로 pdf파일을 생성하여 문서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