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아르바이트나 대리운전 수익도 받을 수 있을까?
근로장려금은 아르바이트나 대리운전과 같은 일용소득에 대해서도 근로장려금을 지급해주어 근로에 대한 장려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아르바이트나 대리운전 등 일용직의 경우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없다는 오해를 하고 계신데, 전혀 사실과는 다릅니다. 사업주가 근로장려금지급 시기에 맞추어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작성하면, 이에대한 근로소득을 인정받아서 근로장려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근로장려금 규정
근로장려금 규정에 따르면 사업자가 일용근로소득에 대한 지급명세서를 작성하여 대리운전이나 아르바이트와 같은 소득에도 근로장려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아르바이트나 대리운전으로 인한 일용근로에 대한 금액을 받고 있는 노동자의 경우에는 따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사업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상용근로자에게 근로소득을 지급하는 경우에 제출이 필요한 문서입니다.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작성 방법
아르바이트나 대리운전과 같이 하루의 노동에 대한 대가에도 근로장려금이 지급된다는 사실을 이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작성하여 근로장려금 지급을 위해 제출해야하는데, 어떤식으로 작성하는지 그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는 근로자별, 월별로 합계하여 작성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아래에서 각 요소들을 어떻게 채워나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귀속연도
귀속연도는 근로를 제공받은 연도를 기록해야합니다.
즉, 2022년에 근로를 제공받았다면 2022를 적어주시면 귀속연도에 대한 작성이 완료됩니다.
2. 지급분기
지급분기도 마찬가지로 근로를 제공받은 연도에 몇분기에 제공받았는지 작성하는 곳입니다.
해당 부분에는 O표를 이용해서 어느 분기에 근로를 제공받았는지 작성하면 됩니다.
3. 일용근로자수
일용근로자수는 아래 소득자 인적사항 및 일용근로소득내용에 들어가는 인원수를 작성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5명에 대한 일용근로자수가 있다면 5명을 작성해주고, 아래 표에도 5명을 작성해줄 수 있습니다.
4.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일용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 계산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적어두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세계산이 끝나면 지방소득세는 그 소득세에 10%에 해당하는 금액이 바로 지방소득세로 계산됩니다.
5. 지급월
지급월은 일용근로자에게 분기 내 급여를 지급한 월에 해당하며 근무일수는 지급월의 근무한 일수를 기록하면 됩니다.
다시말해, 2022년 3월에 15일동안 근로를 지급하였다면, 2/4분기와 지급월에 3월, 근로일수에 15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6. 근무월
근무월은 급여를 지급한 월에 해당하는 근무한 월을 적어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일용근로소득 원천징수세액 계산방법
일용근로자 근로소득공제금액은 1일 15만원입니다. 즉, 일용근로자 납부세액은 근로소득공제금액에서 제하고 특별한 계산식을 적용해야하는데 그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용근로자 납부세액 = (일당 - 근로소득공제금액) × 6% × 45%
식으로만 표현하고 있으니 이 원천징수 납부세액이 얼마나 되는지 감이 잡히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예시를 추가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일용근무자가 7일동안 일당 20만원으로 지급을 받은 경우에 계산을 하게되면, 우선 20만원에서 근로소득공제금액인 15만원을 제외합니다.
그러면 위 식에서 계산하는 방식대로 (일당 - 근로소득공제금액)을 계산한 값이 '20만원 - 15만원'이 되는 5만원이 남습니다.
그 5만원에 6%와 45%를 곱하면, 1,350원이 되고, 7일동안 전체 금액을 다시 구해주면 9,450원이 됩니다.
따라서 원천징수할 소득세는 9,450원이되며, 지방소득세는 그의 10%에 해당하는 940원이 됩니다.